2022년 9월에 진행된 FOMC 미팅의 결과와 일정 및 앞으로의 계획
2022년 9월 FOMC 미팅이 진행되었다. 미팅의 결과로 금리는 0.75% 인상되었으며 이는 물가 상승 압박에 대한 연방준비은행의 대응으로 보인다. 다음 내용을 통해 FOMC과 연방준비은행이 어떤 의미인지 알아보고 파월 의장의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알아보자.
2022년 9월 FOMC 결과
연방준비은행은 9월 FOMC를 통해 0.75bp(0.75%) 금리를 인상하였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3~3.25%가 되며 장기적인 중립금리 2.5% 수준에서 단기적으로 크게 상회하고 있다.
FOMC란 무엇인가요
이번 2022년 9월에 개최된 FOMC란 미국 연방공개 시장위원회 12명의 위원들이 미국의 향후 통화정책에 대해 논의하고 결정하는 미국 금융에 있어 최고의 권의자들이 결정하는 최고의 의사결정 기관이다. 구성원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다.
-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
- 부의장
- 연방준비제도 위원회 이사 7명
- 지역은행 총재 5명
연방준비은행이란 무엇인가요
미국은 우리나라와 달리 각 주에 연방준비은행이 있다. 우리나라로 치면 한국은행이라 비유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단일 체계가 아닌 각 주에 분산체계로 되어있고 그 최고 의장이 파월 의장이다. 이 중앙은행 역할을 하는 연방준비은행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달러 발행 및 채권 관리 역할을 한다.
2022년 FOMC 일정
2022년 FOMC는 총 8번 개최될 예정이며 향 후 2번의 일정이 남았고, 전체 일정은 다음과 같다.
- 1월 25일, 26일
- 3월 15일, 16일
- 5월 3일, 4일
- 6월 14일, 15일
- 7월 26일, 27일
- 9월 20일, 21일
- 11월 1일, 2일
- 12월 13일, 14일
파월의 계획
현재 주식시장의 주가 하락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지만 연방준비은행이 바라는점은 주식시장은 아니라 생각한다. 물론 주식시장 또한 현물 자산으로서 상승으로 인해 소비를 촉구할 수 있겠지만 그보다 문제는 부동산 시장이다. 현재 부동산 시장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하는 것에는 대출금리 상향으로 인한 보유자들의 부담을 가중하는 방법이 탁월하다 생각하는 것 같으며 이 방법은 제대로 반영되고 있는 듯하다. 또한 미국이라는 나라는 대한민국과는 달리 자가 주거비용이 물가지수에 포함되므로 주거비용이 하락함에 따라 물가지수는 같이 하락하는 것을 기대하는 듯하다. 또한 연방준비은행의 목표인 2가지 물가 안정, 고용 안정 중 후자인 고용이 현재 안정되게 유지됨으로써 연방준비은행의 행보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금리인상 및 자산매입 축소를 통한 통화 정책은 향 후 사탕을 주기 위해서 잠깐 사탕을 뺏어야 하는 상황이라 장기적으로 봤을 때 한편으로 다행이라는 생각도 들지만 그건 일부 국가에만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후진국과 신흥국에서는 달러 자금이 빠져나가고 그로 인한 일부 국가들은 외환위기를 당할 위험이 높으며 그러한 국가들은 회생하는 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에 된다. 이는 큰 관점에서 국가이지만 작은 관점에서는 중소기업, 소기업, 상가 운영, 나아가서 원룸 운영하는 임대업자들과 자영업자들까지도 고스란히 피해를 볼 수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주가 하락으로 인한 단기적인 상실감과는 차원이 다른 고통이다. 본인이 힘들더라도 사람들을 만나고 상대할 때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대하는 것이 상대방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이자 위로라 생각한다.
'거시경제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시장 상승기 한국 주식과 미국주식의 장점과 단점 비교 (0) | 2022.09.27 |
---|---|
미국 주식 투자의 환율 방어 장점 (0) | 2022.09.27 |
미국 금리 인상, 환율 1400원 돌파, 앞으로 전망 (0) | 2022.09.23 |
엘리자베스 2세 장례식 비용이 무려 9조다 ?! (1) | 2022.09.20 |
알파벳의 자율주행과 클라우드 그리고 헬스케어 사업 (1) | 2022.09.19 |
댓글